핸드폰 하나로 번호 두개쓰기 e심 상품 비교해보자
안녕하세요. 사회생활을 하는 사람들이라면 극히 공감할 내용인 것이 바로 일상용과 업무용 핸드폰을 구분하고 있는 것입니다. 쉴 때 업무 전화가 오거나, 업무 중에 만난 사람들에게 일상생활과 밀접한 연관이 있는 핸드폰 번호를 노출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분들이 계신데요. 때문에 일상, 업무용 핸드폰을 나눠서 사용하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하나의 핸드폰으로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e심 도입과 e심 상품을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핸드폰 하나로 번호 두개쓰기 e심 상품 비교해보자
핸드폰 하나로 두 개의 번호를 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스마트폰 e심 도입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스마트폰 e심 도입방안의 핵심 내용은 휴대전화 한 대로 번호 두 개를 쓸 수 있게 하는 것에 있는데요. 본격적으로 e심이 도입되면 더 이상 업무용 핸드폰을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두 개의 핸드폰을 구분하다 보니 어쩔 수 없는 불편함이 생기기 마련이었는데요. e심이 도입되면 이러한 불편함이 없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번 도입 내용을 자세히 살펴볼까요?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우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22년 8월까지 e심 도입을 위한 제도, 기술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합니다. e심 도입 전에는 선제적으로 현재의 제도를 개선하고 e심을 위한 시스템을 개편, e심이 탑재된 스마트폰 출시 등으로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요. 한국의 통신 3사의 e심 활용을 위한 시스템 개발과 국내 e심 기술을 돕기 위한 연구 투자도 이루어질 예정이라고 합니다. e심이 본격적으로 도입되면 업무용 핸드폰을 없애고 핸드폰 하나로 사용이 가능해지며, 국내용 해외용 핸드폰을 구별할 필요 없이 하나의 단말기로 합칠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존재하는데요. 그렇다면 이런 e심은 과연 무엇일까요? e심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해주세요.
e심이란 무엇일까? 유심과의 차이점
e심이란 eSIM(embedded SIM)으로 말 그대로 유심 속에 있는 칩이 기기 속에 내장되어 있는 SIM을 뜻합니다. 이러한 e심이 도입되면 SIM을 꽂는 칸을 없앨 수 있어 기기 설계에 있어서 큰 이득을 볼 수 있는데요. 사용자 입장에서는 SIM을 교체하는 것이 아닌 모바일 앱을 통해 SIM을 다운로드할 수 있어 번호를 자유롭게 바꾸어 쓸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만약 유심과 e심이 동시에 지원되는 기기라면 심마다 하나의 번호를 부여해 하나의 기기로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기기에서 e심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e심 사용 기기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e심은 세계이통사연합회의 주도로 2016년부터 표준화 규격이 발간됐고, 2020년 기준 69개국, 175개 통신사가 도입했습니다. 해외의 경우에는 e심이 예전부터 활성화되어 있었는데. 국내에서는 여러 제도, 기술적 한계로 인해 도입이 지지부진했던 것이 사실입니다. 이번에 정부에서 2022년 8월까지 e심을 본격 도입하겠다고 했으니 내년부터는 국내 일반 사용자들 또한 e심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애플 아이폰과 삼성 갤럭시를 기준으로 e심 탑재 여부를 알아보겠습니다.
아이폰
아이폰은 아이폰XS 모델부터 e심 기능을 탑재하였습니다. 하지만 현재까지 국내는 유심 사용이 주를 이루었기 때문에 e심은 제대로 사용되지 않았는데요. 애플이 출시하는 최신 휴대전화 모두 e심을 탑재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 e심 도입시 하나의 단말에서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하고자 하는 아이폰 사용자 분들은 아이폰 XS부터 이용이 가능하겠습니다.
삼성
삼성은 갤럭시S20 모델부터 e심 기능을 탑재하였습니다. 하지만 해외 출시 모델에 한해서 도입되었는데요. 아무래도 국내에서는 e심이 사용될 일이 적다 보니 해외 출시 모델과 국내 출시 모델 간의 차이가 있었던 것 같습니다. 다만 정부에서 e심 활성화를 목표로 한 만큼 빠르면 내년 출시 예정인 갤럭시S22와 폴드, 플립 모델에도 e심이 탑재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정리하자면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아이폰XS부터, 삼성 사용자의 경우 내년 출시될 모델이 e심을 탑재하고 있다는 가정하에 하나의 단말에서 두 개의 번호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e심 상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통신사별 e심 상품 알아보기
결론만 말씀드리면 현재 e심 상품은 그렇게 많지가 않습니다. 가장 큰 이유로는 국내에서 e심이 활성화되지 않았다는 것이 있겠는데요. 2022년 e심 도입에 맞추어 통신 3사와 알뜰폰에서 각종 e심 요금제를 출시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통신 3사를 대상으로 기술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했으니 다양한 e심 요금제를 출시할 것은 확실해 보입니다.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e심은 대표적으로 티플러스 e심이 있습니다. 티플러스는 알뜰폰 사업자인데요. e심을 판매하는 대표적인 통신사인 만큼 아이폰 사용자분들 중 이미 듀얼심을 사용하고 계신 분들도 있을 겁니다.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e심으로 다양한 요금제를 판매하고 있는데, e심 사용 가능 기기를 확인하시고 가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티플러스 홈페이지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티플러스 다이렉트몰
한 폰에 번호가 2개 eSIM 요금제, 우리가족 알뜰한 USIM 요금제 티플러스 다이렉트몰입니다.
www.tplusdirectmall.com
오늘은 하나의 휴대폰으로 두 개의 번호를 이용할 수 있는 e심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현재 e심 도입이 지지부진하였지만 2022년 8월을 기준으로 본격적으로 도입될 것이라 하니 삼성 핸드폰에서의 e심 사용과 다양한 사업자에서 e심 요금제 출시를 기대해 볼 법합니다. 휴대전화 보조금에 대해서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보세요.
2021.12.14 - [알아두면 좋은 정책 정보] - 휴대전화 보조금 추가지원 단통법 개정안 살펴보기
휴대전화 보조금 추가지원 단통법 개정안 살펴보기
안녕하세요. 요즘엔 다들 스마트폰을 사용합니다. 하지만 최신 기종 같은 경우 출고가가 상당히 비싸서 구매가 망설여지기도 하는데요. 사람들은 싼 가격에 구입하기 위해 휴대전화 보조금과
culturejungbo.tistory.com